우리 지구에는 7개의 큰 대륙이 있습니다.

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남극, 유럽, 오세아니아인데요.

각 대륙은 그 대륙을 대표하는 색, 문화, 역사, 언어 계통 등을 가지고 있지요.

'산(Mountain)'도 대륙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징물, 일종의 랜드마크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각 대륙의 최고봉이 위치한 산들을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일부 자료를 위키피디아에서 출처하였습니다.)

 

산 이름

대륙

높이

국가

산맥

에베레스트 산

아시아

8850m

네팔, 중국

히말라야 산맥

아콩카과 산

남아메리카

6962m

아르헨티나

안데스 산맥

매킨리 산

북아메리카

6194m

미국

알래스카 산맥

킬리만자로 산

아프리카

5895m

탄자니아

-

엘브루스 산

유럽

5642m

러시아

캅카스 산맥

빈슨매시프 산

남극

4892m

-

센티널 산맥

자야 산

오세아니아

4884m

인도네시아

마오케 산맥

*자야 산은 지리적으로 오세아니아에 속하나, 아시아의 영토이므로 윌헬름 산을 최고높이로 꼽기도 합니다.




 

▲ 에베레스트 산

 

▲ 아콩카과 산

 

▲ 킬리만자로 산

 

▲ 엘브루스 산 

 

 

 

Posted by brightstory

▲ 나일 강

 

▲ 아마존 강

 

강의 규모를 평가하는 기준으로는 길이, 유역면적, 유량 등이 있다고 합니다.

이 중 어느 것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기준인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강의 길이를 중심으로 세계 10대 강들을 꼽아보았습니다.



다만, 강의 길이라는 것이 정확하게 측정하기 힘들다보니 아직 정확한 비교를 할 순 없다는 점 알아주세요.

(백과사전 및 국가 홈페이지 등 마다 강의 길이가 다르게 표기되어 있답니다.)

 

 

이름

길이

(km)

유역면적

(1000km2)

유역면적

순위

평균유량

(1000m2/s)

평균유량

순위

하구

국가

1

나일

6650

3349

4

3

-

지중해

수단, 에티오피아, 이집트, 우간다, 탄자니아, 케냐, 르완다, 부룬디, 에리트레아, 콩고민주공화국

2

아마존

6400

7050

1

180

1

대서양

브라질, 페루,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3

양쯔

6300

1959

9

34

4

동중국해

중국

4

미시시피-미주리

5971

3221

5

18

8

멕시코 만

미국, 캐나다

5

예니세이

5540

2580

7

19

6

카라 해

러시아, 몽골

6

오브-이르티슈

5410

2975

6

15

10

오비 만

러시아, 카자흐스탄, 중국

7

파라나

4880

4144

2

22

5

대서양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볼리비아, 우루과이

8

콩고

4700

3457

3

41

2

대서양

콩고민주공화국,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앙골라, 콩고공화국, 탄자니아, 카메룬, 잠비아, 부룬디, 르완다

9

레나

4400

2490

8

16

9

랍테프 해

러시아

10

황하

4350

745

-

2

-

보하이 만

중국

 

강의 길이는 말 그대로 강(본류)의 길이를 뜻하고요.

유역면적은 강물(본류와 지류)이 흐르고 있는 면적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유량은 하천에 흐르는 물의 양을 말한다고 해요.

 

 

Posted by brightstory

 

요일

영어 이름

해당하는 천체

어원

일(日)요일

Sunday

태양(Sun)

solis(라틴어 ‘태양’)

월(月)요일

Monday

달(Moon)

monen(앵글로색슨족 언어 ‘달’)

화(火)요일

Tuesday

화성(Mars)

게르만족의 군신 Tiu

수(水)요일

Wednesday

수성(Mercury)

앵글로색슨족의 주신 Woden

목(木)요일

Thursday

목성(Jupiter)

Woden의 아들 Thor

금(金)요일

Friday

금성(Venus)

Woden의 부인 Frigg

토(土)요일

Saturday

토성(Saturn)

농장의 신 Saturn

 

 




요일은 달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 쓰는 이름(한자 이름)과 영어 이름이 묘하게 겹쳐집니다.

고대 유럽에서부터 점점 발달하여 중국으로, 또 우리나라로 전해져왔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데요.

두 이름이 어떻게 겹쳐지는지, 어원은 어디에서 왔는지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일요일의 '일'은 한자로 태양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영어로는 Sunday라고 하는데 이것도 태양이라는 뜻의 영어 Sun에서 직접 왔죠. 좀더 거슬러 올라가면 태양이라는 뜻의 Sun은 라틴어 Solis에서 왔습니다. 그리고 이 이름은 로마의 태양신 Sol과 어원을 함께 합니다.

 

월요일의 '월'은 한자로 달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영어로는 Monday라고 하는데 '달'이 영어로 Moon이니 굉장히 흡사합니다. 앵글로색슨족의 고대 언어에서 달이 monen이었고, 이것이 영어로 전달되면서 영어로 Monday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화요일의 '화'는 한자로 불, 곧 화성을 가리킵니다. 화성은 영어로 Mars라고 하는데, 이것은 로마의 전쟁의 신(군신) 마르스(Mars)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Tuesday의 어원이 된 것은 게르만족에서 섬기는 군신 Tiu입니다. 물론 군신의 이름이 고대 유럽 언어마다 비슷하면서도 달랐기 때문에 절대적인 어원을 찾을 순 없을 것입니다.

 

수요일의 '수'는 한자로 물, 곧 수성을 가리킵니다. 수요일은 해당하는 천체와는 전혀 다른 영어 표현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성의 영어 이름 Mercury는 로마의 전령의 신 Mercurius를 부르는 영어 이름 Mercury에서 왔지만, Wednesday라는 이름은 앵글로색슨족의 주신 Woden으로부터 왔습니다. Woden(Wodin, Odin)은 앵글로색슨족이 섬기는 신들의 주(主)신이며, 제우스처럼 신들의 왕이라고 이해하면 쉬울 듯 합니다.

 

목요일의 '목'은 한자로 나무, 곧 목성을 가르킵니다. 목성은 영어로 Jupiter라고 하는데, 이것은 로마의 주(主)신이며 번개를 다스리는 신인 주피터(Jupiter)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Thursday의 어원이 된 것은 앵글로색슨족의 번개(천둥)의 신인 Thor입니다.

 

금요일의 '금'은 한자로 쇠, 곧 금성을 가르킵니다. 금성은 영어로 Venus라고 하는데, 이것은 로마의 사랑과 미(美)의 여신인 Venus로부터 따온 이름입니다. 금요일의 영어이름 Friday의 어원이 된 것은 앵글로색슨족의 신 Woden의 부인인 Frigg인데, 이 여신도 사랑을 담당하는 여신입니다.

 

토요일의 '토'는 한자로 흙, 곧 토성을 가르킵니다. 토성은 영어로 Saturn이라고 하는데, 이 이름은 로마신화의 농업(농장)의 신인 Saturn에서 그대로 왔습니다.

 

 

달의 이름과는 달리 익숙한 신의 이름이 많이 나오고 그 이름이 천체와도 겹쳐지니 훨씬 더 가깝게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쓰는 한자 이름과도 뜻하는 의미가 상당히 같으니 더 반갑네요.

그런데 '해날, 달날, 불날'처럼 우리 말 이름으로 발전하지 못한 점은 다소 아쉽지 않나요.



2014/03/07 - 열두 달 영어 이름의 기원(어원)


Posted by brightstory

 

영어 이름

라틴어 기원

라틴어 기원의 뜻

1월

January

Januarius(야누아리우스)

야누스

2월

February

Februarius(페브루아리우스)

정결함, 정화

3월

March

Martius(마르티누스)

마르스(군신)

4월

April

Aprilis(아프릴리스)

개화, 아프로디테(미의 신)

5월

May

Maius(마이우스)

마이아(헤르메스의 어머니)

6월

June

Junius(유니우스)

유노(결혼의 여신)

7월

July

Julius(율리우스)

율리우스 시저

8월

August

Augustus(아우구스투스)

옥타비아누스의 존칭

9월

September

Septembris(셉템브리스)

7(일곱 번째)

10월

October

Octobris(옥토베리스)

8(여덟 번째)

11월

November

Novembris(노벰베리스)

9(아홉 번째)

12월

December

Decembris(디셈브리스)

10(열 번째)

 


 


1월의 영어 이름은 야누스라는 신의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야누스는 인간의 야성을 잠재우고 인간에게 이성을 부여한 신이라고 하는데요. 인간의 이성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일 년의 첫 달에 그 이름을 붙였다고 전해집니다. 야누스는 문(門)을 담당하는 신이기도 하죠. 일 년의 문을 여는 것이 1월이니까요.

 

2월의 영어 이름은 정결함, 정화 등을 의미하는 Februs(정화의 신은 Febura)에서 기원했습니다. 로마에서는 매년 2월을 깨끗한 달로 여기고 죄를 속죄하는 의식 등을 치루며 봄을 맞이했다고 해요.

 

3월의 영어 이름은 전쟁을 담당하는 군신 마르스에서 유래했습니다. 옛 로마 시대에는 봄은 곧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고 합니다. 그러다보니 슬프게도 화창한 봄의 계절에 전쟁의 신의 이름이 붙었네요.

 

4월의 영어 이름은 Aprilis라는 단어에서 왔습니다. Aprilis는 '열린'이라는 의미를 가진 Apertus에 is라는 형용사 어미가 붙은 단어랍니다. 이것은 곧 꽃의 개화를 알리는 의미를 가지게 되지요. 꽃이 피는 4월에 이런 이름이 붙게 되었고 꽃처럼 아름다운 여신에게도 같은 어원의 이름이 붙었답니다.

 

5월의 영어 이름은 마이아라는 여신으로부터 왔습니다. 이 여신은 성장의 신인데, 만물이 자라나는 5월에 잘 어울리지요. 또한 같은 어원에 기원하는 Maior는 '위대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답니다.

 

6월의 영어 이름은 결혼의 여신 유노(Juno)로부터 기원했습니다. 로마신화에서 유노는 그리스신화의 헤라(제우스의 아내)와 같은 인물이지요. 결혼과 여성을 담당하는 여신이었다고 합니다.

 

7월의 영어 이름은 사실상 로마의 군주와 마찬가지의 영향력을 지닌 지도자 율리우스 시저(Julius Caesar)의 이름에서 기원했습니다. 그가 죽은 뒤에 그가 태어난 달을 기념하기 위해 사람들이 그의 이름을 따서 붙였던 것이지요.

 

8월의 영어 이름은 로마의 초대 황제(제정 이후의 첫 황제) 아우구스투스 시저(Augustus Caesar)의 이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역시 그의 업적을 기원하기 위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지요. 또한, 황제의 이름을 붙인 8월의 달 수가 30일 밖에 되지 않자, 2월에서 하루를 가져와 8월에 넣기도 하였습니다. 그래서 7월과 8월이 연속으로 31일이 된 것이랍니다.

 

9월 ~ 12월은 각각 라틴어로 일곱~열을 의미하는 Septem, Octo, Novem, Decem에서 유래했습니다. 원래 일 년은 3월을 첫 시작으로 주기가 돌아갔답니다. 그래서 9월 ~ 12월은 각각 7번째 ~ 10번째 달이었지요. 그런데 일 년의 첫 달을 지금처럼 1월로 고치면서 9월 ~ 12월은 각각 9번째 ~ 12번째로 밀려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어원과 다른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답니다.

 

 

물론, 몇몇 달의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현대에 추측에 의해 찾아진 기원입니다. 그래서 어원에 대한 의견 충돌이 있기도 하답니다.

Posted by brightstory

 

아이들이 좋아하는 장난감이기도 하고, 동심을 찾아주기도 하는 비눗방울입니다.

그런데 집에서 만들면 작은 거품에 불과하거나 금방 터져버리는 경우가 많죠.

 

 

 

 

비눗방울을 크고 오래가게 만들고 싶으시다고요?

그렇다면 물, 주방세제, 글리세린, 물엿만 준비해주세요.

그리고 물 : 주방세제 : 글리세린을 3 : 3 : 1 비율로 섞어주세요.

여기에 물엿을 한큰술 정도 넣으면(비눗물 양에 따라 적당히 조절해주세요) 크고 오래가는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어요.

 

 

비눗방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역시 주방세제에요.

물은 표면장력이 약해서 혼자서는 거품방울을 이룰 수 없는데, 주방세제를 넣어주면 이것이 가능해져요.

하지만 계면활성제가 다량 함유되어있는 세탁세제, 바디제품 등은 오히려 큰 비눗방울을 만드는 데 방해가 되지요. 

 

 

세제만 가지고는 커다란 거품을 만들 수 없어요.

비눗방울을 이루기에는 세제는 너무 약한 물질이니까요.

그래서 물을 함께 써요.

물은 주방세제와 함께 비눗방울을 이루는 주물질이 된답니다. 

 

 

글리세린은 비눗방울이 오래 가도록 만들어주어요.

물과 주방세제만으로도 비눗방울을 만들어서 놀 수 있지만, 금방 터져버려요.

물과 주방세제가 분리되어 물이 증발해버리기 때문이에요.

비눗방울에서 물이 증발해버리면 결국 구멍이 숭숭 난 비눗방울이 되니, 터져버릴 수 밖에 없지요.

글리세린은 보습제 등에 들어가는 성분인데, 물의 증발을 막아서 비눗방울이 오래 갈 수 있도록 해준답니다.

약국에서 구할 수 있어요.




 

물엿은 비눗방울의 구조를 단단하게 해주는 역할을 해요.

구조가 약한 세제에 물을 더해서 생긴 비눗방울의 구조가 더 단단하게 해주는 역할을 해요.

하지만 물과 주방세제, 글리세린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긴 하답니다.

 

Posted by brightstory

 

'천 마리의 학' 전설에서 시작된 '소원을 이뤄준다는 종이접기' 해보셨나요?

종이학, 거북이, 학알, 별을 접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종이학 접기

 

**** 학알 접기

 


**** 거북이 접기

 

**** 별 접기

 

Posted by brightstory

 

미국 최대의 영화상이자 85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영화 시상식, 바로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입니다.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무슨 상을 받든 간에, 아니 후보에 오르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일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주목을 받는 상 '빅5'가 있는데요.

작품상(Best Motion Picture of the Year), 감독상(Best Achievement in Directing), 남우주연상(Best Performance by an Actor in a Leading Role), 여우주연상(Best Performance by an Actress in a Leading Role), 각본상(Best Writing - Original Screenplay)이 바로 그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영화 전체의 작품성을 인정받는 작품상의 위엄은 실로 대단한데요.

영화를 사랑하는 관객들 입장에서도 작품성을 인정받은 영화라면 꼭 한 번 보고 싶어할테죠.

 

그래서 소개드립니다.

아카데미 제 1회 시상식을 장식한 날개(Wings, 1927)부터 가장 최근 작품상을 수상한 노예 12년(12 Years a Slave, 2013)까지, 아카데미 작품상(혹은 예술작품상)을 수상한 작품들을 만나보세요.

 

 

 

1929년 제 1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날개(Wings, 1927)

1930년 제 2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브로드웨이 멜로디(The Broadway Melody, 1929)

1931년 제 3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서부전선 이상없다(All Quiet On The Western Front, 1930)

1932년 제 4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시마론(Cimarron, 1931)

1933년 제 5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그랜드 호텔(Grand Hotel, 1932)

1934년 제 6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캐벌케이드(Cavalcade, 1933)

1935년 제 7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어느날 밤에 생긴 일(It Happened One Night, 1934)

1936년 제 8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바운티호의 반란(Mutiny On The Bounty, 1935)

1937년 제 9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위대한 지그펠드(The Great Ziegfeld, 1936)

1938년 제 10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에밀 졸라의 생애(The Life of Emile Zola, 1937)

 

 

1939년 제 11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우리들의 낙원(You Can't Take It With You, 1938)

1940년 제 12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 1939)

1941년 제 13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레베카(Rebecca, 1940)

1942년 제 14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How Green Was My Valley, 1941)

1943년 제 15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미니버 부인(Mrs. Miniver, 1942)

1944년 제 16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카사블랑카(Casablanca, 1943)

1945년 제 17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나의 길을 가련다(Going My Way, 1944)

1946년 제 18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잃어버린 주말(The Lost Weekend, 1945)

1947년 제 19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우리 생애 최고의 해(The Best Years Of Our Lives, 1946)

1948년 제 20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신사협정(Gentleman's Agreement, 1947)

 

 

1949년 제 21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햄릿(Hamlet, 1948)

1950년 제 22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모두가 왕의 부하들(All The King's Men, 1949)

1951년 제 23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이브의 모든 것(All About Eve, 1950)

1952년 제 24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파리의 미국인(An American In Paris, 1951)

1953년 제 25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지상 최대의 쇼(The Greatest Show On Earth, 1952)

1954년 제 26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지상에서 영원으로(From Here To Eternity, 1953)

1955년 제 27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워터프론트(On The Waterfront, 1954)

1956년 제 28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마티(Marty, 1955)

1957년 제 29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80일간의 세계일주(Around The World In Eighty Days, 1956)

1958년 제 30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콰이강의 다리(The Bridge On The River Kwai, 1957)

 

 

1959년 제 31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지지(Gigi, 1958)

1960년 제 32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벤허(Ben-Hur, 1959)

1961년 제 33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The Apartment, 1960)

1962년 제 34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West Side Story, 1961)

1963년 제 35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아라비아의 로렌스(Lawrence Of Arabia, 1962)

1964년 제 36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톰 존스의 화려한 모험(Tom Jones, 1963)

1965년 제 37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마이 페어 레이디(My Fair Lady, 1964)

1966년 제 38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사운드 오브 뮤직(The Sound Of Music, 1965)

1967년 제 39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사계의 사나이(A Man For All Seasons, 1966)

1968년 제 40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밤의 열기 속으로(In The Heat Of The Night, 1967)

 

 

1969년 제 41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올리버(Oliver!, 1968)

1970년 제 42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미드나잇 카우보이(Midnight Cowboy, 1969)

1971년 제 43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패튼 대전차 군단(Patton, 1970)

1972년 제 44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프렌치 커넥션(The French Connection, 1971)

1973년 제 45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대부(Mario Puzo's The Godfather, 1972)

1974년 제 46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스팅(The Sting, 1973)

1975년 제 47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대부2(Mario Puzo's The Godfather Part II, 1974)

1976년 제 48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One Flew Over The Cuckoo's Nest, 1975)

1977년 제 49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록키(Rocky, 1976)

1978년 제 50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애니 홀(Annie Hall, 1977)

 

 

1979년 제 51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디어 헌터(The Deer Hunter, 1978)

1980년 제 52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Kramer Vs. Kramer, 1979)

1981년 제 53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보통 사람들(Ordinary People, 1980)

1982년 제 54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불의 전차(Chariots Of Fire, 1981)

1983년 제 55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간디(Gandhi, 1982)

1984년 제 56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애정의 조건(Terms Of Endearment xxx, 1983)

1985년 제 57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아마데우스(Peter Shaffer's Amadeus, 1984)

1986년 제 58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아웃 오브 아프리카(Out Of Africa, 1985)

1987년 제 59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플래툰(Platoon, 1986)

1988년 제 60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마지막 황제(The Last Emperor, 1987)

 

 

1989년 제 61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레인 맨(Rain Man, 1988)

1990년 제 62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드라이빙 미스 데이지(Driving Miss Daisy, 1989)

1991년 제 63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늑대와 춤을(Dances With Wolves, 1990)

1992년 제 64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양들의 침묵(The Silence Of The Lambs, 1991)

1993년 제 65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용서받지 못한 자(Unforgiven, 1992)

1994년 제 66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쉰들러 리스트(Schindler's List, 1993)

1995년 제 67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포레스트 검프(Forrest Gump, 1994)

1996년 제 68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브레이브 하트(Braveheart, 1995)

1997년 제 69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잉글리쉬 페이션트(The English Patient, 1996)

1998년 제 70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타이타닉(Titanic, 1997)

 

 

1999년 제 71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셰익스피어 인 러브(Shakespeare In Love, 1998)

2000년 제 72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아메리칸 뷰티(American Beauty, 1999)

2001년 제 73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글레디에이터(Gladiator, 2000)

2002년 제 74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뷰티풀 마인드(A Beautiful Mind, 2001)

2003년 제 75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시카고(Chicago, 2002)

2004년 제 76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반지의 제왕 3 - 왕의 귀환(The Lord Of The Rings: The Return Of The King, 2003)

2005년 제 77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밀리언 달러 베이비(Million Dollar Baby, 2004)

2006년 제 78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크래쉬(Crash, 2004)

2007년 제 79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디파티드(The Departed, 2006)

2008년 제 80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No Country For Old Men, 2007)

 

 

2009년 제 81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슬럼독 밀리어네어(Slumdog Millionaire, 2008)

2010년 제 82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허트 로커(The Hurt Locker, 2008)

2011년 제 83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킹스 스피치(The King's Speech, 2010)

2012년 제 84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아티스트(The Artist, 2011) 

2013년 제 85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아르고(Argo, 2012) 

2014년 제 86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 노예 12년(12 Years a Slave, 2013) 

 

 

 

 

 

Posted by brightstory

 

내용 출처 : 위키피디아 - 많이 팔린 책 목록

(조금 더 자세한 정보 및 판매부수는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 가장 많이 팔린 단행본들

 

BEST 5 (판매부수 많은 순)

성경

마오쩌둥 어록 - 마오쩌둥

꾸란

모택동 시집 - 마오쩌둥

모택동 선집 - 마오쩌둥

-- 당연한 내용이라고 볼 수 있지만, 종교서적과 정치서적이 상위권을 모두 차지하고 있네요.

 

판매부수 1억 권 이상 (판매부수 많은 순)

두 도시 이야기 - 찰스 디킨스

반지의 제왕 - J. R. R. 톨킨

몰몬경 - 조지프 스미스 주니어

영생으로 인도하는 진리 - 여호와의 증인

3개 대표론 - 장쩌민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 애거사 크리스티

호빗 - J. R. R. 톨킨

홍루몽 - 조설근

-- 누구나 읽었음직한 작품들이 보입니다. 톨킨의 작품은 두 개나 올라와 있네요.

 

판매부수 5000만 권 이상 (판매부수 많은 순)

그녀 - 헨리 라이더 해거스

어린 왕자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다빈치 코드 - 댄 브라운

호밀밭의 파수꾼 -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연금술사 - 파울루 코엘류

하이디 - 요한나 슈피리

아기와 아동을 돌보기 위해 알아야 할 상식 - 벤저민 스포크

빨간 머리 앤 - 루시 몽고메리

흑마 이야기 - 안나 슈엘

장미의 이름 - 움베르토 에코

-- 어린이들도 충분히 감상할 수 있는 책도 보입니다. 현대의 대중적인 소설들도 보입니다.

 

판매부수 3000만 권 이상 (판매부수 많은 순)

하이트 보고서 - 셰여 하이트

샬롯의 거미줄 - 엘원 브룩스 화이트

피터 래빗 이야기 - 베아트릭스 포터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J. K. 롤링

갈매기의 꿈 - 리처드 바크

가르시아 장군에게 보내는 편지 - 엘버트 허버드

천사와 악마 - 댄 브라운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 - 니콜라이 오스트로프스키

전쟁과 평화 - 레프 톨스토이

치유 - 루이즈 헤이

카인과 아벨 - 제프리 아처

안네의 일기 - 안네 프랑크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 찰스 셀던

앵무새 죽이기 - 하퍼 리

인형의 계곡 - 재클린 수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마거릿 미첼

백년 동안의 고독 - 가브리에 가르시아 마르케스

목적이 이끄는 삶 - 릭 워렌

가시나무새 - 콜린 맥컬로

생각하라 그러면 부자가 되리라 - 나폴레온 힐

The Revolt of Mamie Stover - 윌리엄 브래드포드 휴이

-- 누구나 읽어보았을 책이 아주 많이 포진해있네요.

 

판매부수 2000만 권 이상 (판매부수 많은 순)

배고픈 애벌레 - 에릭 칼

대유성 지구의 종말 - 핼 린드세이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 - 스팬서 존슨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 - 케네스 그레이엄

1984년 - 조지 오웰

천상의 예언 - 제임스 레드필드

대부 - 마리오 푸조

신명해 국어사전 - 야마다 타다오

늑대 토템 - 장룽

해피 후커 - 자비에라 홀랜더

죠스 - 피터 벤클리

언제까지나 너를 사랑해 - 로버트 먼치

소피의 세계 - 요스테인 고르데르

여자의 방 - 마릴린 프렌치

-- 2000만 권이 팔렸을 정도로 대중적인 내용이 다수네요. 영화로 제작된 것도 많이 보입니다.

 

 

두 번째 : 가장 많이 팔린 시리즈 도서

 

BEST 5 (판매부수 많은 순)

해리포터 - J. K. 로링

모택동 선집 - 마오쩌둥

파크 스트리트 설교와 메트로폴리탄 성전 강단 설교모음집 - 창스 스펄전

구스범스 - R. L. 스타인

페리 메이슨 - 얼 스탠리 가드너

 

판매부수 1억 권 이상 (판매부수 많은 순)

베렌스타인 베어스 - 스탠 베렌스타인, 얀 베렌스타인

당신의 모험을 스스로 선택하세요 - 공저

스위트 밸리 하이 - 프란신 파스칼

노디 - 이니드 블라이튼

낸시 드루 - 캐롤린 킨 외

베이비시터 클럽 - 앤 마틴

스타 워즈 - 공저

피터 래빗 - 베아트릭스 포터

영혼을 위한 닭고기 수프 - 잭 캔필드 마크 빅터 한센

프랭크 메리웰 - 길버트 패튼

더크 피트 - 클리브 커슬러

미야모토 무사시 - 요시카와 에이지

아메리칸 걸- 공저

나니아 연대기 - C. S. 루이스

빨간 강아지 클리포트 - 노먼 브리드 웰

제임스 본드 - 이언 플레밍

트와일라잇 - 스테프니 메이어

미스터 멘 - 로저 하그리브스, 아담 하그리브스

 

판매부수 5000만 권 이상 (판매부수 많은 순)

철도 시리즈 - W. V. 오드리, 크리스토퍼 오드리

미피 - 딕 브루너

피어 스트리트 - R. L. 스타인

OSS 117 - 장 부르스

곰돌이 푸 - A. A. 밀른

레프트 비하인드 - 팀 란헤이, 제리 젠킨스

위험한 대결 - 레모니 스니켓

아치 북스 - 공저

디스크월드 - 테리 프래쳇

마법의 시간여행 시리즈 - 메리 풉 어즈번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 존 그레이

하디 보이즈 - 프랭클린 딕슨 외

밥시 쌍둥이 - 로라 리 호프 외

호빵맨 - 야나세 다카시

타잔 -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

-- 아쉽게도 우리나라 작품은 보이지 않습니다. 어린이들을 위한 작품의 선전이 눈에 띄네요.

 

 

세 번째 : 계속 개정되는 책

 

BEST 5 (판매부수 많은 순)

신화자전 - 위건공

소년을 위한 스카우팅 - 로버트 베이든 파월

맥거피 독본 - 윌리엄 홈즈 맥거피

기네스 세계 기록 - 공저

아메리칸 스펠링 북 - 노아 웹스터

 

판매부수 2000만 권 이상 (판매부수 많은 순)

세계 연감 - 공저

육성점술 - 호소키 카즈코

메리엄-웹스터의 대학사전 - 메리엄-웹스터

로제의 시소러스 - 피터 마크 로제

가정 및 야외 요리 전집 - 공저

수학의 정석 - 홍성대

옥스포드 영영사전 - A. S. 혼비

Alcoholics Anonymous Big Book - 빅 윌슨

베티크로커의 요리책 - 베티 크로커 외

영문법 - 린들리 머레이

-- 개정을 거치는 책들답게 사전류를 비롯한 정보서적들입니다. 수학의 정석이 눈에 쏙 들어옵니다. 참고로, 수학의 정석은 우리나라에서 성경 다음으로 많이 판매된 도서라고 하네요.

 

 


어떤가요?

읽어본 책이 대부분인가요, 아직 생소한 책이 많은가요?

꼭 남들이 많이 본 책들을 찾아 읽을 필요는 없지만 독서는 열심히 해야 할 것 같네요. ^^

Posted by brightstory

지금, 이 글을 보고 계신 분들도 모두 이용하고 계시죠? "인터넷"

그런데 '나는 혹시 인터넷 중독이 아닐까'라고 걱정해보신 적은 없나요? 

그래서 소개합니다,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사이트!

20~40문항으로 빠르게 자신의 인터넷 중독을 진단해 볼 수 있으니, 한 번 해보시는 게 어떤가요?

* 관찰자 진단 문항도 있어서 외부 시선으로 진단도 가능합니다!

 

인터넷 중독 진단(청소년) 하러 가기

인터넷 중독 진단(성인) 하러 가기

게임 중독 진단(청소년) 하러 가기

스마트폰 중독 진단(청소년) 하러 가기

스마트폰 중독 진단(성인) 하러 가기

인터넷 이용 습관 진단하러 가기

 

 

 

 

 

 

Posted by brightstory

 

MBTI 성격 유형 검사 하기 : http://mbtitest.net/sub/

 

위 링크에서 할 수 있는 MBTI 검사는 40개의 2지선다형 문항에 대답하면 되는 간편한 검사랍니다.

회원가입이나 실명인증 같은 절차 없이 간편히 해볼 수 있죠.

 

모두 답하고 나면 16가지 성격 유형 중, 내가 속하는 하나의 유형을 찾을 수 있고, 각 유형에 대한 설명도 볼 수 있답니다.

 

△이렇게 질문이 나오면 둘 중 하나만 선택하면 됩니다.

 

△매 질문이 끝날 때마다 나오는 팝업 속의 알파벳을 잘 기억해두세요.

 

 

△검사 종료 후, 16가지 성격 유형을 볼 수 있습니다.

 

△각 성격에 대한 소개를 볼 수 있습니다. 

Posted by bright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