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장은 틀렸지 않는가"

 

네, 위 문장은 틀렸습니다.

'않는가' 대신에 '않은가'가 들어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않은가'를 써야 하는 것은 아니에요.

'-지 않은가'와 '-지 않는가'는 활용하는 곳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지요.

 

'-지 않은(는)가'에서 '-' 부분에 형용사가 오면 '않은가'가 올바르며 '-' 부분에 동사가 오면 '않는가'가 올바릅니다.

따라서 글의 제목에서는 '틀리다'라는 형용사가 쓰였으므로 '틀렸지 않은가'라고 써야 올바릅니다.

'-지 않는'과 '-지 않은'이 활용되는 다양한 경우에서 이 규칙은 그대로 적용됩니다.

 

"한글 맞춤법과 문법, 참 쉽지 않은가.

 그래도 고치지 않는 당신, 반성해야 하지 않는가."

 

Posted by brightstory

"전화 받아"라고 써야 할 말을 "전화 받어"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은 것 같은데요.

왜 "전화 받어"가 아니라 "전화 받아"라고 써야하는 걸까요?

 

'ㅏ'와 'ㅓ'는 모음인데요.

이런 모음들은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끼리, 서로 비슷한 것끼리 어울리는 것을 좋아합니다.

 

여기서 양성모음은 밝은 느낌을 가지고 있는 모음들로, 'ㅏ, ㅗ, ㅑ, ㅛ, ㅘ' 등이 해당합니다.

그리고 음성모음은 어두운 느낌을 가지고 있는 모음들로, 'ㅓ, ㅜ, ㅕ, ㅠ, ㅝ' 등이 해당합니다.

(참고로 'ㅡ'와 'ㅣ'는 음성모음이랍니다.)

 

그럼 '전화 받아'를 살펴볼텐데요.

'받아'는 '받-'이라는 어간과 '-아'라는 어미로 이루어진 말입니다.

여기서 어간과 어미가 바로 '비슷한 것끼리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죠.

그래서 '받-'의 모음 'ㅏ'(양성모음)에 양성모음을 가진 '-아'가 함께 오는 것입니다.

 

다른 예를 몇 가지 들게요.

 

'쓰레기를 주워라' : 음성모음을 쓴 '주' 다음에 음성모음 '워'가 옵니다.

'밥을 먹어라' : 음성모음을 쓴 '먹' 다음에 음성모음 '어'가 옵니다.

'하늘을 날아가다' : 양성모음을 쓴 '날' 다음에 양성모음 '아'가 옵니다.

'맞는 것 같아' : 양성모음을 쓴 '같' 다음에 양성모음 '아'가 옵니다.

Posted by brightstory

우리는 시계를 보고는 '다섯 시 삼십 분'이라고 읽습니다.

그런데 이런 생각 해보신 적은 없나요?

왜 '다섯 시 서른 분'이나 '오 시 삼십 분'은 안 되느냐는 생각이요.

 

여기서 '다섯'이나 '삼십' 등을 가리켜서 '수사'라고 합니다.

'범죄 수사' 같은 말이 아니라 <수량이나 차례를 나타내는 품사>라는 뜻을 가진 말인데요.

이 '수사'는 다시 양(量)수사와 서(序)수사로 나눠지는데, '다섯'이나 '삽십' 등은 모두 양수사에 해당합니다.

(서수사는  첫째, 둘째 등을 말하죠.)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시(時)에는 '오'가 아닌 '다섯'을 쓰는 이유를 알아볼까요.

 

옛날 과거로 돌아가보면, 우리 민족이 우리말만을 사용하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비록 우리말을 기록할 한글은 없었지만(그래서 한자를 썼죠) 그래도 우리에게는 우리말이 더 자연스러웠죠.

그래서 시각을 나타내는 '시(時)', 무게를 나타내는 '근(斤)' 등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써 오던 단위에는 자연스럽게 우리말 수사가 붙었습니다.

 

이후에 우리나라는 한자문화권의 영향을 받으며, 점점 한자 사용이 자유로워집니다.

한글이 만들어지고 한자를 한글로 표지할 수 있게 되면서 한자식 표현도 한글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고요.

이런 과정에서 개화기 이후로 들어오는 단위에는 자연스레 한자어 수사가 붙게 되었습니다.

어차피 한자어도 한글로 표기할 수 있으니, 과거처럼 굳이 순우리말 수사를 붙일 필요가 없었던거죠.

그래서 '분(分)', '초(秒)' 등의 단위와 영어의 영향을 받은 단위에는 한자어 수사가 붙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굳혀져 오면서 우리의 입에 철썩 달라붙게 된 것이지요.

그래서 '다섯 시 삼십 분'은 익숙하지만 '오 시 서른 분'은 어색하답니다.

Posted by brightstory

여기에 세 가지 문장이 있습니다. 어떤 문장이 맞는 것일지 골라보세요.

 

(가) 어제 보니 철수는 참 멋있데.

(나) 영희가 뭐라고 말했대?

(다) 이 일을 언제 다 끝낸데?

 

고르셨나요?

어떤 문장이 올바른 문장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정답을 알려드릴게요. 

(가), (나) 그리고 (다) 모두 맞는 문장이랍니다.

 

오늘은 문장에서 '-데'와 '-대'가 하는 역할에 대해서 말하고자 합니다.

 

먼저 '-데'는 과거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에 말할 때 사용합니다.

예문 (가)는 화자가 어제 직접 본 철수에 대해 이야기했기 때문에 '-데'를 사용한 경우입니다.

 

'-대'는 '-다고 해'에서 온 말입니다.

그래서 '-대'는 누군가에게서 들은 말을 전할 때 사용합니다.

예문 (나)에서는 청자가 영희에게 들은 말에 대해서 전해달라고 말하고 있네요.

 

그렇다면 예문 (다)는 어떤 경우일까요?

예문 (다)에서 쓰인 것은 '-ㄴ데'의 사용으로, 또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답니다.

'-ㄴ데'는 어떤 말을 하면서 그 말에 대한 청자의 반응을 바랄 때 쓰는 표현이지요.

예문 (다)에서 화자는 누군가한테 자신의 처지를 말하면서 위로를 바라고 있나 봅니다.

 

이제는 꼭 '-대'와 '-데'를 쉽게 구분해서 쓰세요!

 

Posted by brightstory

2011년 8월 31일, 총 39개 항목에 표준어가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아나운서나 신문 기자 정도나 제대로 쓰던 말이 일반인에게 확대됐다고 볼 수 있는데요.

언어의 사회성을 십분 반영한 조치였다고 생각합니다.

 

이 중에서 '자장면'을 '짜장면'이라고 표기할 수 있게 된 내용이 가장 많이 알려졌는데요.

실제로 중국어 발음이 '자장면'보다는 '짜장면'에 가깝기 때문에 '짜장면'을 표준어로 인정해달라는 움직임도 꽤 오랫동안 있어왔습니다.

하지만 '짜장면' 말고도 일상 생활에서 표준어 대신 많이 쓰이다가 이번에 표준어로 추가된 말이 여럿 있습니다.

 

이 내용을 국립국어원 보도자료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 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으로 추가로 표준어로 인정한 것 (11개)

추가된 표준어

현재 표준어

간지럽히다

간질이다

남사스럽다

남우세스럽다

등물

목물

맨날

만날

묫자리

묏자리

복숭아뼈

복사뼈

세간살이

세간

쌉싸름하다

쌉싸래하다

토란대

고운대

허접쓰레기

허섭스레기

흙담

토담

 

□ 현재 표준어와 별도의 표준어로 추가로 인정한 것 (25개)

추가된 표준어

현재 표준어

뜻 차이

~길래

~기에

~길래: ‘~기에’의 구어적 표현.

개발새발

괴발개발

괴발개발’은 ‘고양이의 발과 개의 발’이라는 뜻이고, ‘개발새발’은 ‘개의 발과 새의 발’이라는 뜻임.

나래

날개

나래’는 ‘날개’의 문학적 표현.

내음

냄새

내음’은 향기롭거나 나쁘지 않은 냄새로 제한됨.

눈꼬리

눈초리

눈초리: 어떤 대상을 바라볼 때 눈에 나타나는 표정. 예) ’매서운 눈초리’

눈꼬리: 눈의 귀 쪽으로 째진 부분.

떨구다

떨어뜨리다

떨구다’에 ‘시선을 아래로 향하다’라는 뜻 있음.

뜨락

뜨락’에는 추상적 공간을 비유하는 뜻이 있음.

먹거리

먹을거리

먹거리: 사람이 살아가기 위하여 먹는 음식을 통틀어 이름.

메꾸다

메우다

메꾸다’에 ‘무료한 시간을 적당히 또는 그럭저럭 흘러가게 하다.’라는 뜻이 있음

손주

손자(孫子)

손자: 아들의 아들. 또는 딸의 아들.

손주: 손자와 손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어수룩하다’는 ‘순박함/순진함’의 뜻이 강한 반면에,어리숙하다’는 ‘어리석음’의 뜻이 강함.

연신

연방

연신’이 반복성을 강조한다면, ‘연방’은 연속성을 강조.

휭하니

힁허케

힁허케: ‘휭하니’의 예스러운 표현.

걸리적거리다

거치적거리다

자음 또는 모음의 차이로 인한 어감 및 뜻 차이 존재

끄적거리다

끼적거리다

두리뭉실하다

두루뭉술하다

맨숭맨숭/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둥바둥

바동바동

새초롬하다

새치름하다

아웅다웅

아옹다옹

야멸차다

야멸치다

오손도손

오순도순

찌뿌둥하다

찌뿌듯하다

추근거리다

치근거리다

 

□ 두 가지 표기를 모두 표준어로 인정한 것 (3개)

추가된 표준어

현재 표준어

택견

태껸

품새

품세

짜장면

자장면

 

 

Posted by brightstory